레이블이 영어강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영어강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4월 9일 목요일

The suburbs are dead — and that’s not a good thing 미국 교외지역들이 죽어가고 있어요

The suburbs are dead — and that’s not a good thing




모두 도시들이 부흥하면 교외지역도 함께 부흥한다고 믿었죠. 하지만 도시들은 부의 유입으로 번영하는데 교외지역은 그렇지가 않네요. 미국이야기입니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교외지역과 대도시내 빈곤층 사람들의 수가 53% 증가해서 1천 5백 3십만명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도시 빈민보다 교외지역 빈민들의 수가 두 배로 늘었군요. 가난이라면 도시내 문제일거라고 생각했지만 실은 교외지역들의 가난이 더 심각합니다. 


이유는 여러가지일 수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이 다음입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단순 노무직과 서비스 직업들이 건축붐에 이끌려 교외지역에서 이동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단순 기술자들은 교외지역으로 이동해 일자리를 찾았지만,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와 연이은 금융위기로 그들은 직장을 잃게 되고 오고 갈 데가 없어져 버린 겁니다. 정부에서 food stamp를 받는 사람들이 급증했습니다. 


교외지역 빈민문제는 도시 빈민보다 더 심각한 도전들이 있습니다. 우선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봉사 단체가 부족합니다. 사회 안정망이 더 느슨할 수 밖에 없습니다. 혹 자선단체가 근처에 존재한다 하더라도 가난한 사람들은 차가 없어 거기 가서 도움받기도 어렵습니다.


"치솟는 빈곤율이 교외지역의 정체성, 정치성, 이미지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도시지역은 줄고 있는데 교외지역에서 범죄율은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뉴욕시 같은 곳은 10년간 범죄율이 16.7% 떨어졌는데 교외지역에선 17% 증가했습니다. 갱, 총, 마약활동들이 더 빈번해졌습니다. 범죄가 무서워 대도시를 떠났다는 것은 옛말이 되었죠. 


교외지역 쇼핑몰들은 무너지고 있다는 것도 싸인입니다. 교외주민의 구매력도 줄고 있지만 인터넷으로 주문하는 시대의 등장으로 지방 상권들이 죽고 있습니다. 2006년 이후 미국 전체 교외지역에서 1개의 쇼핑몰만 오픈했습니다. 그러니 예전 쇼핑몰들은 콜센터, 갤러리, 자동차 전시룸, 파머즈 마켓등을 유치하며 변신의 노력을 합니다. Cleveland의 Galleria at Erieview는 손님이 거의 없어 주말에는 몰을 닫고, 쇼핑몰 일부를 아예 야채 가든으로 전환했습니다." 저는 몰들을 공간으로 보지, 리테일로 보지 않습니다.(I look at it as space, “I don’t look at it as retail.)"


Colorado Denver 근교에 있는 교외지역 Lakewood Villa Italia shopping mall은 1966년 세워졌는데 1.2-million-square-foot의 거대한 몰이었습니다. 이 몰은 이제 104 에이커의 아파트, 콘도, 타운하우스, 오프스공간, 예술가를 위한 스튜디오, 그리고 쇼핑과 오락 코뮤니티로 재창조되어 전혀 새로운 공동체로 부활하려고 합니다.  산보길을 만들어 streetlights, coffee shops, boutiques, restaurants이 줄지어 있는 풍경으로 재디자인했죠.

...
사람들이 도시로 도시로 몰려 오니 한때 중류층의 표상이었던 넓은 교외지역이 무너지는군요. 한국은 교외지역이라는 것은 없고 그냥 지방들이 이런 고통들을 겪고 있죠. 그 작은 시골 지역으로 이마트와 하나로가 작게라도 파고 들어 그 이익은 모두 도시로 보내고 지역상권을 말살하고 있어요. 아마 이제 도시들만 살아날 것 같습니다. 작은 구덩이같은 공간이라도 도시가 더 생활하기 좋아지는 것입니다.




2015년 4월 6일 월요일

The Next Chapter of 'The Bible' to Come to TV '성경'을 TV 미니 시리즈로


The Next Chapter of 'The Bible' to Come to TV



기독교 신앙의 기본은 아주 쉬운 것만큼이나 난해합니다. 예수가 탄생했고, 의심하는 대중에게 설교하면서 믿을 수 없는 삶을 살았고, 명에롭게 죽고 부활했다는 것입니다. 대부분 신앙인들에겐 이야기는 거기서 끝납니다. 죽음을 정복하셨으니 어느날 다시 오실 것이라는거죠. 

하지만 21세기에 사는 우리들이 예수가 누군지를 아는 이유는 처음부터 그를 전했던 목숨을 걸었던 사도들 때문입니다. 그 12 제자 모두 한 명을 제외하고 아주 비참하게 죽었습니다. 

그들 삶을 역사적 관점에서 다루는 드라마가 NBC에서 미니 시리즈 "A.D. The Bible Continues"로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History Channel의 miniseries, "The Bible"로 성공을 거둔 부부 Mark Burnett와 Roma Downey가 만들고 있습니다. 음모와 살해, 시대의 모의를 하는 로마의 정치가들과 사도들의 행동을 시대상에 맞게 다룹니다. "빌라도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가, 열심당에겐? 헤롯왕에겐?"

역사적 사실들을 맞추어 나가면서 가공 인물도 내세우면서 창의성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살고 있는 시대가 얼마나 아슬아슬한 세계인가 드라마틱하게 보여줄 겁니다.

...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늘상 보게 되는 또 하나의 다른 지루한 성경이야기는 아닌지.


 

How Criminals Built Capitalism 자본주의는 도둑들이 이루었다

How Criminals Built Capitalism



바이어와 셀러가 만날 때마다 다른 이를 사기칠 기회는 증가합니다. 

시장의 역사는 사실 거짓말, 속임수, 훔치기의 역사이며 그 상업 범죄들과 싸우려는 수많은 세월 노력의 역사입니다.


현대 경제의 진화는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이 범죄자들에게 빚지고 있습니다. 

"Forging Capitalism: Rogues, Swindlers, Frauds,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를 쓴 저자 Ian Klaus의 주장입니다. 

19세기, 20세기를 따라 나타난 금융범죄들은 항상 같은 패턴으로 발견됩니다. 

새로운 시장의 출현, 사기칠 새로운 방법들, 거래하고 신용을 확보하려는 새로운 방법들이 구해지는 패턴입니다. 

바로 자본주위가 성자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 범죄자들에 의해  구축되었다는 책입니다.

2015년 3월 24일 화요일

일본 여성들 왜 그리 아이를 못낳나

Why the Japanese are having so few babies



Aichi현이 신혼부부들에게 몰래 구멍 뚫어진 콘돔들을 배포해 그들이 출산율을 올릴 수 있게 하자고 제안했다

일본의 인구 문제에 대해 커지는 염려를 잘 보여주는 고심책이다

작년 일본에선 백만 명 겨우 넘는 아기들이 태어났고이 숫자는 2060년까지 127백만에서 87백만명으로 떨어질 일본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수치에 훨씬 못 미친다

왜 일본의 젊은이들은 아기 낳기를 그토록 싫어하는 것인가?

가임 여성들의 규모가 감소하면서 인구 감소라는 회오리는 급속도로 빨라지고 있다. 지난 5월 한 연구결과는 젊은 여성들이 대도시로 이주하면서 2040년쯤 되면 일본의 500개 이상의 마을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노동인구는 이미 감소하고 있으며미래 성장을 위협하고 있다.

출산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결혼의 감소이다결혼하기를 선택하는 사람이 적어졌고하는 사람들도 결혼을 늦게 한다젊은 여성의 최소 1/3이 전업주부가 되길 희망하지만 이런 전통적인 가정을 책임질 수 있는 남자를 찾는데에 어려움을 겪는다경기가 더 좋았을 때에는남성 구혼자들은 평생 고용 시스템의 일부로서 평생 직장을 가지고 있었다이제는 대부분이 계약직이거나 파트타임 아르바이트를 한다다른 여성들은 일본의 옛날식 기업문화와 보육시설의 심각한 부족이 결국 직장을 그만두도록 하기 때문에 결혼과 출산을 포기한다마지막으로젊은이들은 엄격한 사회 규범에 얽매여 있다. 2%의 아기들만이 혼외 출산이며(이는 대부분 부유한 국가들의 30-50%와 비교된다결혼이 줄어들면 출산 또한 줄어든다는 의미이다가족을 꾸리는 이들에게도 보육비용의 증가는 사실상 한 아이 정책을 강제한다.

...
바람많이 펴서 아기를 마구 낳자는 이야기인가? 그래서 간통법이 폐지되었는가? 

대한민국도 별 다를 게 없습니다. 모두 자기 영토내에서 자기살 깍아 먹는 것입니다. National Carnivalism!



박소연학생 전문 번역 블로그>http://cinsso.blog.me/220309172964

2015년 3월 19일 목요일

고가 유명 브랜드 헤드폰들의 사기

18 Headphone Brands Ranked from Worst to First



Full-time rapper and part-time headphone brand Dr. Dre는 "사람들은 모든 음악을 듣는 것이 아닙니다"라고 말하길 좋아했죠, 하지만 "사람들은 제대로 된 헤드폰을 구입하는 것이 아닙니다"라는 말이 더 정확한 평가일 겁니다. 

오디오 산업은 마케팅으로 진탕 오염되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소비자들은 무턱대고 300달러 이상 고가를 사고, 대중적 장소에서 폼잡고 끼고 다니죠. 대가리를 끄덕거리면서요. 

문제는 우리는 진정한 음악경험을 통해 헤드폰을 구입하는 게 아니고, 브랜드명성에 의지해서만 산다는 것입니다. 즉 다시 말해 유명세에 따른 고가가 좋은 헤드폰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소리(sound)와 비소리(unsound)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어느 브랜드들이 우리의 관심을 받을 가치가 있고, 어느 브랜드들을 소비자들은 피해야 할까요.

우리는 거의 3,000 종류의 헤드폰의 스펙, 리뷰점수, 특성들을 분석해 100개를 선정해 랭킹을 메겼습니다.

선정 기준들은 다음입니다.
  • 75% – expert reviews (CNET, Wired, TechCrunch, What HiFi, Good Gear Guide, PC Mag)
  • 25% – specs and features (frequency, sensitivity, noise canceling, etc.)

그 결과들을 보면 놀랄 겁니다. Dr. Dre의 말을 빌리자면, "몸을 뒤로 젖히고 자세를 편하게 잡으세요, 그리고 좌석의 가죽벨트를 메보세요- 여러분은 이런 비행을 해 본 적이 없을 겁니다."(“Sit back, relax, and strap on your seatbelt—you never been on a ride like this before.”) 
이 말은 '뻥'이었던 것입니다. 비싸다고 해서 절대 좋은 것들이 아닙니다.
링크해서 랭킹을 보십시요.

최저임금 New York City를 봐라, 뉴욕 주지사야

You Try Living on the Minimum Wage



뉴욕주 50만명이 넘는 노동자들은 시간당 $8.75의 최저임금으로 생계를 유지한다일주일에 40시간 일하는 사람들에게는 일년에 $18,000정도 되는 금액이다이게 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일주일 동안 단 $350을 가지고 음식전세가스비와 난방비를 한번 해결해봐야 알 것이다.

이는 주지사 Andrew Cuomo에게 자신이 왜 작년 최저임금 인상과 인플레이션에 연동하겠다고 약속했는지 기억하게 해 줄 것이다. Cuomo는 최저임금을 시간당 $10.10으로 올리겠다고 했었다그는 뉴욕시와 같이 거주하기 비싼 도시 지역은 다른 주 지역보다 임금이 30% 더 높도록 허용할 것이라 말했다.


그는 이번에 2016년 말까지 최저임금을 $10.50으로 올리고, 뉴욕시 노동자들을 위해서는 $11.50으로 약간 올리겠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중요한 사항들은 Cuomo의 최근 최저임금 일괄안에서는 빠진듯 하다그의 안은  인플레이션율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고, 지역별로 임금인상 폭을 조정하겠다는 내용도 뺏다이러한 사항들이 없으면 주지사의 임금 패키지는 빚좋은 개살구다.


지난달 Cuomo 자기가 뉴욕시에서 $18,000으로 살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해놓구


주지사는 이런 반면, 뉴욕시 '박원순'인 Blasio 시장은 당장 시간당 임금을 $13.30으로 인상하고, 2019년까지는 $15까지 올리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주지사 Cuomo는 이런 계획은 별을 향해 쏘는” 비현실적인 것이라 비난한다. Cuomo씨, 최저임금목표를 더 높이 하고, 인플레이션과 연동시키고지역별 임금인상 폭을 최대 30%까지 올릴 수 있도록 허용하세요!

...
애초부터 부자 자본가들이 혼자 먹는 구조를 막았어야 했는데. 미국이나 한국이나 최저 임금 운운하며 마치 부자들이 자선이라도 베푸는 양, 선심쓰는 꼴이 역겹군요. 노동자들은 그거 조금 올려도 입에 풀칠 한번 더 하는 것인데요. 마치 노예들에게 100대 몽둥이 찜질하는 것을 99대로 줄여주는 경우와 같습니다. 노동자들도 1달러 더 올려 달라는 기분 아주 더럽습니다. 미국 경제 공항때 어느 회사에서 임금 1센트 올려 달라고 파업했던 것이 기억납니다. 그러니 노동자들이 지식을 가지고 깨닫고 현명하게 정치판을 뒤집어야죠. 

전문번역 박소영학생 블로그 > http://cinsso.blog.me/220304529322

Obama 제안, 세금, 죽음, 그리고 강제투표

Mandatory voting? Obama says it would be 'transformative'



인생에서 확실한 건 두 가지죠. 세금과 죽음이요. 대통령 오바마가 하나를 더 첨가하려고 합니다. 바로 투표죠.


Cleveland 시민모임에서 미국 선거의 돈정치의 폐해에 대해 질문을 받자 오바마는 투표권리로 말을 돌리면서 미국이 사람들이 투표하는 것을 더 쉽게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모두 투표해야 하는 호주에게 물어보세요. 모두가 투표한다면 이 나라의 정치지형을 완전히 바꿀 수 있을 겁니다. 이는 완전히 혁명적인 것입니다. 보편적 투표는 어느 무엇보다 돈정치를 극복하게 만들겁니다"


선거일에 투표하지 않는 층은 주로 젊고, 저소득층, 이민자, 소수민족일 가능성이 큽니다.


"어떤 사람들이 투표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 말은 공화당이 지배하는 주들의 선거시스템이 주민이 투표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입니다. 


Belgium, Brazil, Argentina등 최소 24개국이 의무투표제가 있어서 사유가 분명치 않을 경우 벌금형에 처합니다. 감옥에 가두는 법을 가진 나라도 있습니다.


 Obama는 장기적 과제라고 하면서 농담식으로 이야기 했다지만 모를일이죠.

...
저조한 투표율을 자랑하는 한국, 현재 지배체제가 할 리가 없겠지만 이거 한번 해봅시다. 아니면 지난 대선에서 지적되었듯이 최소한 투표시간을 24시간 all night까지 포함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