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영어독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영어독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4월 11일 토요일

The suburbs are dead — and that’s not a good thing 미국 교외지역들이 죽어가고 있어요

The suburbs are dead — and that’s not a good thing




모두 도시들이 부흥하면 교외지역도 함께 부흥한다고 믿었죠. 하지만 도시들은 부의 유입으로 번영하는데 교외지역은 그렇지가 않네요. 미국이야기입니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교외지역과 대도시내 빈곤층 사람들의 수가 53% 증가해서 1천 5백 3십만명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도시 빈민보다 교외지역 빈민들의 수가 두 배로 늘었군요. 가난이라면 도시내 문제일거라고 생각했지만 실은 교외지역들의 가난이 더 심각합니다. 


이유는 여러가지일 수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이 다음입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단순 노무직과 서비스 직업들이 건축붐에 이끌려 교외지역에서 이동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단순 기술자들은 교외지역으로 이동해 일자리를 찾았지만,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와 연이은 금융위기로 그들은 직장을 잃게 되고 오고 갈 데가 없어져 버린 겁니다. 정부에서 food stamp를 받는 사람들이 급증했습니다. 


교외지역 빈민문제는 도시 빈민보다 더 심각한 도전들이 있습니다. 우선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봉사 단체가 부족합니다. 사회 안정망이 더 느슨할 수 밖에 없습니다. 혹 자선단체가 근처에 존재한다 하더라도 가난한 사람들은 차가 없어 거기 가서 도움받기도 어렵습니다.


"치솟는 빈곤율이 교외지역의 정체성, 정치성, 이미지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도시지역은 줄고 있는데 교외지역에서 범죄율은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뉴욕시 같은 곳은 10년간 범죄율이 16.7% 떨어졌는데 교외지역에선 17% 증가했습니다. 갱, 총, 마약활동들이 더 빈번해졌습니다. 범죄가 무서워 대도시를 떠났다는 것은 옛말이 되었죠. 


교외지역 쇼핑몰들은 무너지고 있다는 것도 싸인입니다. 교외주민의 구매력도 줄고 있지만 인터넷으로 주문하는 시대의 등장으로 지방 상권들이 죽고 있습니다. 2006년 이후 미국 전체 교외지역에서 1개의 쇼핑몰만 오픈했습니다. 그러니 예전 쇼핑몰들은 콜센터, 갤러리, 자동차 전시룸, 파머즈 마켓등을 유치하며 변신의 노력을 합니다. Cleveland의 Galleria at Erieview는 손님이 거의 없어 주말에는 몰을 닫고, 쇼핑몰 일부를 아예 야채 가든으로 전환했습니다." 저는 몰들을 공간으로 보지, 리테일로 보지 않습니다.(I look at it as space, “I don’t look at it as retail.)"


Colorado Denver 근교에 있는 교외지역 Lakewood Villa Italia shopping mall은 1966년 세워졌는데 1.2-million-square-foot의 거대한 몰이었습니다. 이 몰은 이제 104 에이커의 아파트, 콘도, 타운하우스, 오프스공간, 예술가를 위한 스튜디오, 그리고 쇼핑과 오락 코뮤니티로 재창조되어 전혀 새로운 공동체로 부활하려고 합니다.  산보길을 만들어 streetlights, coffee shops, boutiques, restaurants이 줄지어 있는 풍경으로 재디자인했죠.

...
사람들이 도시로 도시로 몰려 오니 한때 중류층의 표상이었던 넓은 교외지역이 무너지는군요. 한국은 교외지역이라는 것은 없고 그냥 지방들이 이런 고통들을 겪고 있죠. 그 작은 시골 지역으로 이마트와 하나로가 작게라도 파고 들어 그 이익은 모두 도시로 보내고 지역상권을 말살하고 있어요. 아마 이제 도시들만 살아날 것 같습니다. 작은 구덩이같은 공간이라도 도시가 더 생활하기 좋아지는 것입니다.




2015년 4월 7일 화요일

Why Henry George had a point '토지공개념' 일 리 있다

Why Henry George had a point




토지가격은 주로 위치를 반영합니다. 농부들은 토양을 경작하거나, 배수시킵니다. 하지만 대부분 토지의 가치는 다른 사람들의 활동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 누구도 고층빌딩이나 쇼핑몰을 야생에 세우지 않습니다. 다시 말하면 토지소유주들은 훌륭한 연계망, 고객, 공급업체, 다른 사업체들과의 근접성이 가져다 주는 혜택들로부터 불로소득을 누리게 됩니다. 일단 땅을 사면 돈을 계속 가지게 되는 겁니다. 

하지만 왜 세금을 메기지 않을까? 이 단순하지만 혁명적 아이디어는 뿌리가 깊습니다. David Ricardo는 땅에서 얻은 불로소득은 "독있는 비정상(pernicious anomaly)"이라고 했습니다.

그의 추종자 Henry George는 1879년 그의 저서 “Progress and Poverty”에서 토지가치세가 모든 다른 세금을 대체해, 노동과 자본이 자유롭게 흐르도록 하여 실업, 가난, 인플레이션, 불평등을 종결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모든 세금들은(이익세, 부가가치세, 소득세등) 마진에 대한 인센티브를 변동시킴으로써 경제활동을 죽입니다. 빌딩가치에 대한 부동산세는 빌딩개선을 방해하고 가치평가가 쉽지 않습니다. 영국의 거주용 부동산세는 20년전의 가치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세금들은 경제활동을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내쫓습니다. 해외 금융센터로 도망가도록 하는 것이죠. 세무원들이 헛점을 찾으려고 더 빨리 달려들수록 더 똑똑한 회계사들이 새로운 헛점들을 찾아 냅니다. 

하지만 토지가치세는 이러한 부작용이 없습니다. 그들은 토지공급을 줄이거나 의사결정을 왜곡할 수 없습니다. 대신 그들은 경제활동을 자극하게 되는데 토지를 그대로 두거나 놀리면 주인들을 과세하게 됩니다. 세금은 다른 사람이 그 토지에 대한 용도를 찾을 때까지 미래 세금의 현금분으로 인해 토지가격을 내려가게 합니다. 산출도 쉽고, 토지를 마사지해서 룩셈부르크로 옮길 수도 없을 겁니다. 세금을 내지 않으면 몰수되어 다시 팔려집니다. 누구도 더 많은 세금을 좋아할 리는 없지만 가난한 사람들이 내야 하는 세금들을 줄이고 새로운 토지가치세를 부과해야 합니다. 

부자들이 더 많은 토지를 가지고 있겠죠. 가난한 사람들은 없을 거구요. 그러니 경제적 불평등을 염려하는 학자들 특히 노벨경제학수상자 Joseph Stiglitz는 최근 소득과 생산적 자본의 분배보다는 토지와 주택이 더 공평한 경제로 가는 핵심이라고 주장합니다. 공공 투자, 예를 들어 새로운 도로를 세우는 것과 같은 경우 이익은 몇몇 토지 소유주들에게 돌아가는 것이 아니고, 더 높은 세금 형태로 거두어져 마을 전체로 돌아가게 됩니다. 토지소유주들이 즐기는 불로소득에 세금메기는 것이 토지가격의 상승과 하락을 통제할 것입니다. 환경론자들도 도시 확산을 막아주기에 이 개념에 찬성합니다. 도시가 옆으로 퍼져 나가는 것보다 위로 더 올라가도록 하는 것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뉴욕시 토지가격은 1986년과 2014년 사이 5배가 뛰었습니다. New York City 시장 Bill de Blasio는 가치별로 빈 토지를 세금 메기는 것이 Bronx같은 불우한 다른 지역을 향상시키는데 도움 될 것으로 희망합니다.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International Monetary Fund도 지지하고 있습니다(쇼하는거죠). Adam Smith는 이 세금을 “어느 다른 것보다 합리적이다(nothing could be more reasonable)"라고 말했고, Milton Friedman은 "최소한으로 나쁜 세금(the least bad tax)”이라 했습니다. 

이게 가능할까요? 문제점들은...

 

2015년 4월 2일 목요일

Ben Bernanke's second life as just another blogger 벤 버냉키는 지금은...

Ben Bernanke's second life as just another blogger

신의 입을 가졌던 막강했던 전직 Chairman of the Federal Reserve, Ben Bernanke가 블로그에서 경제현상에 대한 논쟁으로 불을 지폈습니다.  전직 재무부장관 Larry Summers까지 끌어 들여  “secular stagnation” 논쟁입니다. 그의 인터넷 블로그를 달구어졌습니다.

 

Secular stagnation는  economist Alvin Hanlin이 도입한 개념으로 Great Depression(대공항) 말기 투자수요가 줄어 경제가 계속 정체해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결국 2008년 금융위기 여파로 미국과 선진국들이 경제적 숙취 이상의 피해를 보고 있을지 모른다는 논쟁입니다. 하바드 총장까지 지낸 천재 경제학자 Summers는 2013년 이 현상을 지적했지만, Benanke는 스태그네이션은 없다고 주장합니다. 

어떤 이들은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기술발전의 생산성의 한계를 탓하기도 하고, 어떤 이들은 이미 여성들이 노동계에 진입했고 보편적 교육의 실익은 이미 경제성장에서 다 실현되어 버렸다는 사실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어떤 이들은 선진국가들의 수명이 늘어나 고연령층이 이제 고위험투자보다는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쪽으로 자리를 잡으며 수요가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들의 논쟁이 국민과 의회에 영향을 주어 미국이 돈을 빌려 인프라투자를 촉진하도록  움직이도록 할까요? 안될 겁니다.  유권자들과 정치가들은 결코 장기적이든 단기적이든 어떤 고통도 싫어하거든요.

Nobel Prize 경제부문을 수상한 Paul Krugman는  the New York Times 사설과 자기 블로그를  공화당의 작은 정부(small-government conservatives)로의 집착은 버리고 정부는 지출을 더 늘리라고 주장해왔습니다. 

Krugman은 Twitter follower가 1백 3십3만명이고 Bernanke는 1백만입니다. 지금 미국 경제 진단에 전직 거인들이 블로그에서 설전중입니다.
...
한국의 이름있는 공직자들, 정부에서 대단한 일들을 했으면(하지도 않고 눈치만 보았지만) 당신 지식과 경험을 좀 이런 곳에다 쓰세요. 또 국회의원, 시장, 대사자리 하나 얻어 먹으려고 여기저기 거지처럼 어슬렁거리며 돌아다니지 말고요. 자존심도 없습니까? 그 똑똑한 두뇌들에 대해?

2015년 3월 28일 토요일

런던에서 모스크바 거쳐 뉴욕까지 고속도로를

Super highway that connects London and New York


러시아 갑부이자 푸틴 대통령 친구 Vladimir Yakunin이 영국과 모스크바, 알라스카, 캐나다, 뉴욕을 연결하는
13,000마일의 고속도로로 연결하자 말했습니다. 



"이는 국가간, 문명간 프로젝트입니다."



대담하죠, 실현될 가능성은 있지만 돈이 문제겠죠. 



러시아 동부 끝단에서 미국 알라스카 Nome까지 베링해를 가로지르는 55마일 다리로 연결하자는 생각입니다.
미국쪽은 Nome에서 Fairbanks까지 도로를 건설하면 되고, 각 국가들은 기존의 도로망들을 이용하자는 것이죠. 



초고속철도와 파이프라인도 같이 깔자는 것입니다. 러시아 시베리아를 개발하겠다는 의지입니다.



그는 푸틴의 후계자 구도에 들어 오는 인물이기에 이 거대한 계획이 실현될 지 모를 일입니다.






기업을 성공시키는 것은? 혁신구조

What makes an organization successful? Innovation may be an easy answer.



우리는 가장 성공적인 기업들은 경쟁자들과 다르게 혁신에 접근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전세계 17개 산업군 1,000명 이상의 고위 임원들에 대한 보고서를 연구한 결과다. 이 연구이름은 "More than Magic: How the Most Successful Organizations Innovate”상위 9% 기업들이 이익성장률과 관리의 효율적 측면에서 조직문화업무과정에 있어서 독특한 전략들을 추구한다고 밝혀졌다.




혁신의 본질이 바뀌고 있다혁신은 더 열려졌고 경제 생태계 시스템내에서 더 자주 발현되고 있다요즘 혁신은 대개 팀워크와 협업과 관계있다. 혁신의 마법”은 여전히 존재하지만과학데이터인사이트를 통해 더욱 약진한다.




그 조직들에게서 눈에 띄는 3가지 특성을 찾았다



1. 
혁신활동들이 바로 기업목표와 연결되도록 시스템적으로 혁신을 지원하도록 조직이 짜여졌다개방된 혁신구조를 추구하고 특성화된 혁신 팀을 꾸린다우리 연구는 가장 성공적인 기업들은 여타 기업에 비해 새로운 혁신을 받아들일 확률이 37%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2. 
전사적으로 혁신에 대해 집중할 수 있도록 기업 문화에 혁신이 중요한 핵심으로 자리 잡도록 한다혁신적 태도를 장려하며 혁신이 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구한다성공적인 기업들은 혁신에만 전담 팀을 꾸릴 확률이 79% 더 높다.



3. 
다양한 문야에서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고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실제 혁신으로 전환하는 과정들을 채택한다이런 기업들에서는 혁신은 따로 금전적으로 지원되고 엄격하게 평가된다가장 성공적인 기업들은 혁신 투자에서 발생한 금전적인 성과를 평가할 확률이48% 더 높다.




박소연 학생 전문 번역 블로그>http://cinsso.blog.me/220313469454


2015년 3월 24일 화요일

일본 여성들 왜 그리 아이를 못낳나

Why the Japanese are having so few babies



Aichi현이 신혼부부들에게 몰래 구멍 뚫어진 콘돔들을 배포해 그들이 출산율을 올릴 수 있게 하자고 제안했다

일본의 인구 문제에 대해 커지는 염려를 잘 보여주는 고심책이다

작년 일본에선 백만 명 겨우 넘는 아기들이 태어났고이 숫자는 2060년까지 127백만에서 87백만명으로 떨어질 일본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수치에 훨씬 못 미친다

왜 일본의 젊은이들은 아기 낳기를 그토록 싫어하는 것인가?

가임 여성들의 규모가 감소하면서 인구 감소라는 회오리는 급속도로 빨라지고 있다. 지난 5월 한 연구결과는 젊은 여성들이 대도시로 이주하면서 2040년쯤 되면 일본의 500개 이상의 마을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노동인구는 이미 감소하고 있으며미래 성장을 위협하고 있다.

출산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결혼의 감소이다결혼하기를 선택하는 사람이 적어졌고하는 사람들도 결혼을 늦게 한다젊은 여성의 최소 1/3이 전업주부가 되길 희망하지만 이런 전통적인 가정을 책임질 수 있는 남자를 찾는데에 어려움을 겪는다경기가 더 좋았을 때에는남성 구혼자들은 평생 고용 시스템의 일부로서 평생 직장을 가지고 있었다이제는 대부분이 계약직이거나 파트타임 아르바이트를 한다다른 여성들은 일본의 옛날식 기업문화와 보육시설의 심각한 부족이 결국 직장을 그만두도록 하기 때문에 결혼과 출산을 포기한다마지막으로젊은이들은 엄격한 사회 규범에 얽매여 있다. 2%의 아기들만이 혼외 출산이며(이는 대부분 부유한 국가들의 30-50%와 비교된다결혼이 줄어들면 출산 또한 줄어든다는 의미이다가족을 꾸리는 이들에게도 보육비용의 증가는 사실상 한 아이 정책을 강제한다.

...
바람많이 펴서 아기를 마구 낳자는 이야기인가? 그래서 간통법이 폐지되었는가? 

대한민국도 별 다를 게 없습니다. 모두 자기 영토내에서 자기살 깍아 먹는 것입니다. National Carnivalism!



박소연학생 전문 번역 블로그>http://cinsso.blog.me/220309172964

2015년 3월 17일 화요일

fastcomany 2015 세계를 바꾸는 혁신 14가지

The World Changing Ideas Of 2015



FASTCOMPANY가 고른 14가지 오늘날 세계를 재편하기 시작하고 있는 가장 과감하고 혁신적 아이디어 14가지


1. 저임금 노동자를 잘 대접하는 것이 최고의 비지니스 전략

Aetna, Gap, Starbucks, Walmart가 자기 직원의 최저임금을 올렸습니다. 더 친근한 우리 기업들의 시작인가 아니면, 그저 기업들의 PR인가?




2. 보편적 기본 소득이 우리가 기다려 온 가난에 대한 초당적 해결인가

정부가 그저 모든 사람이 가난하지 않도록 월급을 충분히 준다면 어떨까? 가능하지 않을 것 같은 곳에서 지지자들이 나나타고 있습니다.








4. 느리지만 지속적인 평화적 시위가 변화를 만들어 낼 경주에서 이기고 있다


5. 쉬지 말라 불편함이 새로운 편리함이다.

인간이 쉽고 편한 것만 찾아 도태되지 않도록 생활 디자이너들이 쉽게 생활하는 방식을 버리고 어렵게 움직이도록 바꾸고 있습니다. 


6. 지구가 이산화탄소를 100% 통제하는 삶이 가능해집니다. 




7. 완벽한 도시형 이동 기기 자전거가 나옵니다



8. Silicon Valley가 미국 곡창지대 농업과 만나서 기아문제가 해결됩니다. 



9. 모든 물체는 컴퓨터처럼 프로그램화 될 것이다. 집에서 자동 조립되는 가구들




10. 당신이 의사가 되어 스스로 병을 치료하고, 집이 사무실이 됩니다




11. 에너지를 친구에게 구입하게 됩니다. 전기 회사가 필요없습니다.




12. 당신은 이미 햄버거를 먹기 전 소가죽 신발을 신을 수 있습니다. 소고기가 완벽하게 인공으로 만들어 집니다



13. 스마트 폰도 사라질 겁니다. 



14. 대체 에너지로 오일가격은 거의 제로가 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