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9월 24일 목요일

FT: 미국금리인상의 모든 Q&A

How will this affect me?



Financial Times 이 똘똘이의 글만 읽으시면 미국 금리인상과 그 영향에 대해선 완전정복합니다. 

일본이 그 회사를 샀지만 편집권은 그대로 놔두겠죠.

Q&A식으로 질문 하나하나에 답이 쉽게 나옵니다.

예) Why would a rate rise in the US impact the emerging market countries?

We have already seen the antecedents(전례들) of the main impact: a stronger US dollar, backed(지지되는) by higher US interest rates, tends to depress the values of emerging market currencies(화폐들) at a time when many EM economies are already weakening and their currencies have already slumped against the greenback(달러대비).The Fed’s rate rise could exacerbate(악화시키다) the EM currency turmoil(급변), and even help precipitate(악회시키다) a full-blown(본격적인) crisis.


2015년 9월 23일 수요일

Should Japan Allow Its Military to Fight in Foreign Wars? NYT논쟁:일본자위대 외국에서 전쟁해도 되나

(The New York Times) Should Japan Allow Its Military to Fight in Foreign Wars?


한국은 일본 자위법개정안 통과에 대해 흥분하고 있습니다. 깊이 있는 글은 찾아 보기 힘들고 주로 아베자식 지지율은 급락하고 있고, 일본에서 큰 반대시위가 있다는 뉴스외에는 제대로 된 분석을 찾아 보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미국 언론에 나타나는 의견들은 대부분 이번 일본의 안보법 개정에 찬성합니다. 고통을 당한 우리랑 아주 거리가 먼 이야기들 뿐입니다.


1. Japan’s Military Reforms Are Long Overdue
1954년이후 일본군대는 오직 자국방어만을 위해 조직되었습니다. 오늘날 첨단의 전문적이고 기술적으로 능한 일본 군대는 아직 전쟁에 참여한 적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위대(Self-Defense Forces (S.D.F.))는 UN의 평화유지군으로, 이라크에선 미국의 동맹국으로,아덴만에선 해적활동 방지노력으로, 아시아국가들에겐 인도주의적 재난 구조활동으로 참전했습니다. 현재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산사군도에서의 무력시위, 북한과의 미사일대치등은 일본 군대가 지역안보에 더 크게 기여하길 요구하고 있습니다. - Sheila A. Smith, a senior fellow for Japan studies at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 Japan Must Reject Isolationism일본은 평화주의에서 군국주의로 나가자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일본이 1991년 걸프전쟁에도 130억 달러를 내고 참가했습니다. 일본은 이제 새로운 국제적 안보의 책임을 지고 나가야 합니다. 이번 일본 안보개정법은 일본이 고립주의(isolationism)에서 국제주의(internationalism)로 나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일본은 중국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에서 힘의 균형을 유지해줄것이고, 한반도 유사시 도움을 줄 것이고, 국제적 분쟁에서 더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 Narushige Michishita is a professor at Japan's National Graduate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3. A Stronger Japan Is Helpful for the U.S., but Has Delicate Implications

일본은 자국방어에 미국에 무임승차해왔습니다. 초기엔 아시아 주변국들이 일본에 대한 두려움으로 미국이 일본의 무장을 억제할 수 밖에 없었죠. 이제 근해까지도 스스로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합니다. 북동 아시아에서 중국과 균형을 이루고, 이제 미국 군사자원을 더 남쪽에 신경쓰게 도와주는 것입니다. 일본은 2차대전이후 70년동안 제대로 된 시민적 사회의 모습을 보였고, 미국의 빡빡해진 국방부 예산해결에도 도움을 주게 될 것입니다. 뭐 북한 중국 러시아에 맞선 균형추로 미국 일본 남한으로 가는 것은 당연하지 않습니까?(네가 쪽발이들에게 당했어봐라. 자기가 뭘안다구.)-James Holmes is a professor of strategy at the Naval War College and a senior fellow at the University of Georgia's School of Public and International Affairs.





4. (The Diplomat) Could Japan see a return to militarism as some have claimed? Several factors make that highly unlikely.
일본 군국주의 회귀는 이제 불가능합니다.1930년대 군국주의 난행은 민간 행정부가 군부의 전횡을 막지 못한 결과였습니다. 이제 민주주의가 깊은 뿌리를 내려 시민들이 뽑은 일본 수상과 행정부가 군대를 지휘하고 일본 자위대는 호전적 집단이 아니라 건전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지원해서 참여하는 조직입니다. 즉 시민이 뽑은 시민들 정치가들에 의해 군부는 통제되고 있습니다. 민간인 수상이 미국처럼 자위대 총사령관입니다.




5.(Washingtonpost) Japan takes step toward having a ‘normal’ military일본은 이제 진정한 정상적인 군대를 가지기 위해 첫걸음을 내딛고 있는 것입니다.
...
왜 한국의 똑똑한 지식인들은 영어로 외국에 우리 입장의 글 하나도 제대로 낸 것이 없을까요?

'Doomsday' vault buried deep in Arctic ice is opened as Syrian crisis sparks need for seed 북극에 있는 지구종말대비 종자은행

'Doomsday' vault buried deep in Arctic ice is opened as Syrian crisis sparks need for seed



북극에서 800킬로 떨어진 노르웨이 섬 Svalbard에 있는 The Global Seed Vault는 얼음속에서 솟아져 나와 보이는  콘크리트건물입니다. 안에는 콩, 쌀, 밀등 전세계 860,000개 종자 샘플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제 이 지구종말을 대비하며 운영하는 단체 Crop Trust 관리들은 시리아 내전으로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 씨앗들을 대체하기 위해 종자들을 옮기고 있습니다. 


" 이런 식으로 세계 다양한 종자들을 보호하는 것이 "Svalbard Global Seed Vault의 목적입니다."


원래 시리아 종자은행은 북부도시 Aleppo에 있었으나 최근 중동위기로 그 기능이 위태롭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보관소를 2012년 Beirut로 옮겼습니다. 


the Global Crop Diversity Trust 주도로 2008년 이 건물은 열렸습니다. 거의 모든 나라가 종자들을 기증 참가했지만, 일본, 중국, 인도는 아직 참가하지 않고 있네요. 이 나라들이 인구도 많고 종자들도 많을텐데요, 종자들을 숨기려고 그런건가요.


이 건물은 핵전쟁만을 대비한 것이 아닙니다. 2100년엔 110억명이 될 지구 인구를 먹이기 위해서이기도 합니다. 작년 10월에도 10,000종이 기증되었습니다. 


"이 건물은 우리가 어떻게 지구인들을 먹이기 위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하고 긍정적인 해결책을 이룰 수 있느냐를 보여줍니다. 곡식의 다양성은 더 많은, 보다 영양가있는, 가난한 사람들도 살 수 있는 저렴한 식량을 생산하기 위해 꼭 보존되어야 합니다."

...
우리는 오늘 살기도 낑낑대는데 멀리를 바라보며 대비하는 이런 사람들은 참으로 현명하지요.


 

2015년 9월 22일 화요일

Sex robots are actually going to be good for humanity.섹스로봇은 금지해야 할 문제?

Sex robots are actually going to be good for humanity.


Kathleen Richardson과 Erik Billing같은 학자가 주도하는 "Ban sex robot!" 운동. 킬러 로봇 출현을 두려워하고, 섹스로봇 개발이 현재의 불평등을 심화시킨다고 반대하고 있습니다. 



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뿌리깊은 성차별같은 문제가 가득한 사회이기에 이런 노골적인 금지운동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섹스 로봇반대 운동은 더 깊이 생각해봐야 합니다. 



현재 섹스와 로봇에 대한 연구는 영화 장면에서 나오는 것과 같은 피상적 관심과 탐구에 머물고 있습니다. 주로 남성이 지배하고 이용하게 되는상대 여성로봇이죠. 



하지만 일찌감치 David Levy은 teledildonics(인터넷을 통한 작동하는 성기구들)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는 섹스 로봇을 환영하는 사회 가능성을 설명합니다. Levy에겐 섹스는 인간과 로봇 관계를 반영해주는 친화적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우린 오래전부터 로봇과의 관계를 친화적으로 다루었습니다. 그리스 신화인물 Pygmalion 동상은 키스로 다시 살아나게 되죠. 



섹스로봇 금지운동의 주역 리차드슨은 인간 파트너 대용 또는 창녀로서 여성이나 아이들이 흔히 대상이 될 수 있는 섹스 로봇을 말합니다. 섹스 로봇은 주로 인간들 주로 남성들을 위해서 만들어진 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스마트폰등 현대 모든 기술은 처음엔 남성들의 큰 손과 포켓에 맞도록 나오지 않았나요? 심장박동기도 여성들 20%에게만 맞았지만 이젠 여성용도 잡았습니다. 



로봇과학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 사고들을 리프레임하는데 도와줍니다. 인터넷이 이미 성과 정치의 근접할 수 없었던 세계를 열어주었고 의견들을 공유하는 커뮤니티를 구축했습니다. 요약하자면 기술의 도움을 받아 우리 사회는 성의 이중성을 재고하고 있는 것입니다. 왜 섹스 로봇이 가하다 부하다라는 식으로 극단적으로 이분법화해야 합니까?



섹스 로봇은 안마를 도와주거나 외로운 자들에게 마음써주는 동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미 심리학에선 가상현실이 시도되어 성범죄자들을 치유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무조건 반대가 능사가 아닙니다. 이 기회에 차라리 로봇(그리고 섹스로봇)의 법률적인 문제, 남성, 여성에게 도움되는 길, 사회적 변화와 치유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시간입니다. 섹스만을 위한 로봇이 아니라 인공적 성에 대한 논의를 진지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기계들은 우리가 만드는 것입니다. 태동단계의 AI의 가능성이 두렵다고 이 이슈를 만들어 나가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무조건 금지할 문제가 아닙니다. 킬러 로봇을 금지하자는 것과, 섹스 로봇을 금지하자는 것은 다른 문제입니다. 


Apple Watch Hermès: 최고의 콜라보

THE APPLE WATCH IS GETTING AN HERMES UPDATE



프랑스 명품 패션과 미국 기술의 세계를 어울린 Apple Watch Hermès가 나와 골라보의 극치를 보여줍니다. 

에르메스 시그네처, 에르메스 고유의 오렌지색의 서체, 에르메스 시계들의 다이얼등이 들어간 진정한 콜라보입니다. 

세 종류의 디자인이 있습니다. 시계 줄은 Barenia가죽으로 만들었고 the single tour(한 줄 띠), the double tour, the cuff.

Apple's chief design officer Jonathan Iv. "Both companies are motivated by a sincere pursuit of excellence and the desire to create something that is not compromised. Apple Watch Hermès is a true testament to that belief."

Pierre-Alexis Dumas, Hermès's executive vice president in charge of artistic direction.
"At Hermès, we strive to provide our clients with elegant, creative and functional objects for their everyday lives. What more contemporary and relevant expression of this principle could there be than this collaboration with Apple. We are strongly united by the same deeply held ideas and principles. I see it as the establishment of an alliance in excellence; like horse and carriage, a perfect team."

10월 5일부터 몇몇 애플매장과 에르메스 매장에서 팝니다.  


2015년 9월 21일 월요일

Volkswagen Drops 23% After Admitting Diesel Emissions Cheat(Volkswagen도 역시 사기의 천재)

Volkswagen Drops 23% After Admitting Diesel Emissions Cheat


Volkswagen AG 주가가 미국기준 공식적인 공기오염테스트를 속였다고 고백한 후  거의 1/4이상이 급락했습니다. 1년간 전체 31%가 하락했는데, 총액으론 15.6 billion euros($17.6 billion)가 날아간 것입니다.


2007년 이후 폭스바겐을 이끌었던 Chief Executive Officer Martin Winterkorn는 비난과 압력에 굴해 관련된 모델들 판매를 중단했고 내부 조사와 함께 외부 조사에도 응하겠다 발표했습니다. 그는 금요일 이사회에서 대표로서 자신의 계약을 갱신할 수 있을지 불투명합니다.


폭스바겐 주식 20%를 가지고 있는 독일주 Lower Saxony의 주지사 Stephan Weil. "미국의 고발은 심각한 문제이고 신속하게 진상이 밝혀져야 합니다."

이 회사는 Jetta, Passat등 디젤차량들에 공식적인 배기 검사받을 때만 오염방지장치를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끼워 넣었다 자백했습니다. 이 차들은 평소 운항중엔 법제한 10배에서 40배까지 배기가스를 낸다고 테스트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환경청 EPA가 관장하는International Council on Clean Transportation의 실험실과 현장에서의 비교 조사에서 들통난 것이죠.

The European Commission, 독일 경쟁사 BMW AG와 Daimler AG 도 VW의 사기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자동차 50만대가 해당되는 이 사건은 벌금이 $18 billion에, 형사처벌까지 가능합니다. 만약 경영층이 관여했다면 더 심각한 파장을 몰고 올 것입니다. 

Winterkorn등  경영진들은  작년 366,970대로 작년 대비 판매 10%가 떨어진 폭스바겐 판매를 미국 시장에서 경쟁사에 따라 올리려고 발버둥쳤습니다. Audi와 VW brand 차 판매를 2018년까지 총 백만대까지 늘리겠다는 꿈은 날아간 듯 합니다. 너무 욕심을 부린듯 합니다.

...
엔지니어링의 최고봉, 독일기업도 장사하려고 간땡이가 부은 일을 했군요. 폭스바겐까지도. 역시 이 세상은 도둑놈들이 잘됩니다. 한국 자동차기업들은 이 정도까지 무식하게 배짱은 안부리셨겠지요? 기업들이 뭐 하나 잘못하면 정말 박살내야 합니다. 이런 일엔 착한 민족이 되어서는 안되죠.




 

2015년 9월 20일 일요일

Understanding the Rise of Manufacturing in India (HBR: 인도 제조업의 이해)

Understanding the Rise of Manufacturing in India



인도는 소프트웨어만 강국이 아닙니다. 미국, 중국 다음으로 구매력에 있어 3위의 제조업 국가입니다. 엔지니어와 공장 기술자들이 넘치고, 지적재산권은 존중받고 있으며, 영어 쓰는 매니저들이 허다합니다.
수상 Narendra Modi의 제조업 부흥 모토 “Make In India”를 서구인들은 무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인도의 제조업을 이해가 필요할 때입니다. 

인도에서 성공한 미국 제조기업들이 적지 않습니다. 




Chicago에 본사를 둔 Abbott은 인도 Gujarat주 Jhagadia시에 14,000명을 고용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이루었습니다. 인도의 매운 음식을 극복하기 위해 제산제 Digene를 개발, 판매합니다. 인도인들은 통증을 줄이기 위해 진통제 ibuprofen대신 인도 현지 Abbott의 Brufen을 찾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인도 아이들에게 아몬드와 새프런이 가미된 영양제 PediaSure를 성공시켰습니다. 150개국에서 영업하는 Abbott에게 인도시장은 캐나다, 영국 다음으로 해외 확장된 소비규모 3위의 시장입니다. 다국적 건강약제 기업으로선 인도의 12억 인구는 엄청난 매력입니다. 



미국 기업 Cummins와 GE는 여러 공장들을 인도에 설립, 엔진, 발전기등을 제조해 세계시장에 팝니다. 다국적 기업들의 제조업이 분권화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Texas Instruments의 이전 engineer,  Lou Hutter는 현재 스타트업 Cricket Semiconductor의 CEO로서 인도에서 칩제조 공장 설립을 위해 10억 달러를 투자받고 있습니다.


이들에게 도전도 큽니다. 

우선 20개의 공장을 운영하는 Cummins의 장벽은 복잡한 부지확보와 까다로운 정부 절차입니다. 일단 공장부지를 정하려해도 수많은 토지 수용권자들이 나타나거나, 정부 조사관들이 수시로 밀어 닥칩니다. 주정부들은 이런 어려움을 온라인처리등을 도입해서 도와주려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도는 다양한 여러 주들이 모인 국가로서(미국은 50개 국가들이 모여 있죠!) 하나의 단일체제가 아니기에 정밀한 현지 중심의 검토가 필요합니다.  

인도 노동법은 전통적으로 대기업들이 직원을 해고하길 어렵게 만들었고, 다국적 기업들은 규제를 피하기 위해 공장을 소규모로 유지하거나 하청으로 계약하려는 경향이 큽니다. 다국적 기업들은 직접 공장을 세우기보다 인도 현지업체들과 면밀하게 협조할 수 있습니다. 


20년전만 해도 서구 기업들은 아일랜드, 중미를 소프트웨어와 사업을 아웃소스할 곳으로 여겼습니다, 이젠 인도의 지식노동자들이 더 매력적입니다. 이제는 인도가 전세계 제조업의 첨병이 되고 있습니다. 인도입장에서도 제조업이야말로 인구의 절반을 가난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는 기회이고요.


Vijay Govindarajan is the Coxe Distinguished Professor at Tuck School of Business at Dartmouth and a Marvin Bower Fellow at Harvard Business School. He is the lead author of Reverse Innov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2012).

Gunjan Bagla is Managing Director of Amritt Inc, a California consultancy that advises American companies on doing business in India and the author of Doing Business in 21st Century India (Hachette, 2008).

2015년 9월 19일 토요일

Why Ambition Isn’t Working for Women왜 여성에겐 야심이 통하지 않을까

Why Ambition Isn’t Working for Women




"너 대가리 모양은 귀엽다" 또는 너 왜 그리 쪼잔하니?" 남성들 이런 말 들으면 기분 어때요?

TIME연구입니다. 미국 남성 51%, 여성 38%가 자신들이 큰 야심을 가지고 있다 말하지만 이유들은 복잡합니다. 

the Atlantic에 실린 Anne-Marie Slaughter의 논란많은 “Why Women Still Can’t Have It All”, Sheryl Sandberg의 베스트셀러"Lean In". 전자는 아이들을 키우기 위해 director of policy planning under Secretary of State Hillary Clinton 자리를 떠난 여성의 고충, 후자는 여성들도 자기 자리에서 앞에 나서라는 충고는 다른 나라 이야기처럼 들립니다. 심지어 여성들은 30여년 남성들보다 학문적으로도 더 능력있음을 증명했지만(여성 고학력자들이 더 많습니다) 왜 최고 자리에 올라간 여성들은 이렇게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일까요?

이제 Slaughter는 새로운 책 "Unfinished Business"를 써 여성들에게 "당신이 야심있는 걸 알아요, 그걸 소유하세요"라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지만, 역시 여성들은 뭔가 제대로 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지긴 여전히 어려운 사회입니다.

여성들이 덜 추진적이거나 야심이 없어서가 아닙니다 그들이 애써 구하려고 하는 것들이 그들을 최고로 올라가게 하는데 도움이 안되는 것 뿐입니다.

여성들의 야심과 그 불편한 진실 에피소드를 보세요.

1. I was president of a publicly traded company.
I was making more money than I’d ever imagined. Being written about in Fortune(기사까지 다루어져서요), and all these things that you would think would make someone feel really good. Yet I was really unhappy! I was talking to a girlfriend of mine, and she said, “Do you ever think about quitting?”
And I said, “Quitting?!” I’ve never quit at anything in my life. It just seemed absurd. And she said, “Well, you’re not happy, so what is it that you’re afraid of?”
That stopped me cold. Because my reflexive answer was “Afraid? I’m not afraid of anything.” I’d never really thought about it, but I was afraid of what people would think. And the minute I realized I was not leaving because of what people would think, that was when I thought, Wow, my definition of success is pretty messed up, and I need to get my priorities in check(점검해봐야겠네).
2. Lorna Borenstein
Founder, Grokker.com

... 
 

China VCs Are Going Crazy for Girl Groups돈 몰리는 중국 걸그룹 SNH48

China VCs Are Going Crazy for Girl Groups



중국 걸그룹 SNH48은 PepsiCo, Lay’s potato chips, Sony가 이 브랜드를 자사 제품들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밴드 가능성에 많은 벤처 기업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전 Google China chief Kai-Fu Lee’s Innovation Works도  투자했죠.

이 그룹을 소유한 Shanghai Star48 Culture & Media는 수억 달러 가치가 있다 평가됩니다.  

일본 걸그룹 AKB48을 모방해 3년 전 시작된 이 그룹은 중국 전역에서 선발, 군대보다 더 혹독한 연습을 시킵니다.

지난 6월 모집에선 126,000명이 지원했는데 그 중 48명이 선발되었습니다. 

전체 멤버는 119명, 몇 팀으로 나누어 교대로 공연합니다. 이들 공연 티켓은 몇 분만에 동이 납니다.

처음에는 일본 그룹을 모방했지만 이젠 자기들 색깔을 내고 있습니다.

Star48 작년 매출은 3천억달러를 넘었는데, 내년엔 3억달러가 넘을 겁니다. 

이 그룹의 폭발적 인기는 중국소비자들이 이제 돈을 생활을 벗어나 오락과 라이프스타일에 지출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중국 명품 시장 매출은 현재 정체 상태지만, 이런 문화에 대한 경험과 재미에 쓰는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습니다. 

...
한국의 걸그룹도 이정도 난리인데 중국 크기에선 대단할 겁니다. 팬들 80% 이상이 모두 30대 이하입니다.


역시 좀 촌스럽네요.